본문 바로가기

국토교통 통계누리 통계표 보기

자동차등록현황보고 (Total Registered Motor Vehicles)

검색분야 및 담당부서 안내
검색분야 종합일반/자동차등록현황보고 담당부서 자동차운영보험과 (곽태훈, ☏ 0442013861)
전국 자동차 등록현황(승용자동차, 승합자동차, 화물자동차, 특수자동차, 이륜자동차)

■ 자동차등록대수 개념 

ㅇ 자동차등록대수 : 통계시점에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고 운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대수 (이륜자동차 사용신고대수는 제외된 대수)

■  의의 및 활용도

ㅇ 자동차는 비교적 고가품으로 대표적인 내구재이기때문에 경기상황에 민감, 따라서 자동차 등록대수의 추이는 경기상황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

■ 수치해석방법

ㅇ 유의사항
  - 증가대수 : 통계시점과 전년도시점의 차이이며, 해당년도의 신규등록대수가 아님
  - 증감비 : 통계시점과 전년도시점의 증감율이며, 모수(자동차총등록대수)가 증가함에 따라  전년대비 증가대수가 같거나 증가하더라도 증감비는 작아질 수 있음

 

 ※ 최근 수소자동차의 증가로 수소차 등록대수에 대한 문의가 많으며, 환경부의 수소차 보급 규모와 국토교통부의 자동차등록대수는 통계 상 차이가 있음을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.

   ☞ 국토부(자동차등록현황보고): 국가승인통계, 지역별 등록된 수소차 등록대수를 의미

   ☞ 환경부(수소차 보급 규모): 내부자료, 수소차 중 보조금 지원대상 차량대수를 의미


■  기간별 증감 및 변동요인(자동차등록대수 증감 추이)

ㅇ  ‘93-‘96년 년 1천만대 이상 증가되던 자동차등록 대수는 외환위기를 겪었던 ’98년도에 급격히 감소한 후, 서서히 증가세를 회복하다 ‘03년도부터 다시 증가세가 감소
 -  ‘02-’04년 감소원인
   · 경기침체로 민간소비지출의 감소
   · 신용불량자 급증, 가계부채의 증가와 고유가로 인한 구매심리 위축
   · 내구소비재인 자동차판매가  IMF외환위기 이후 가장 저조 

ㅇ  ’05-'07년 서서히 회복하고 있으나, '02년까지 8%수준의 증가율이 '03년 이후에는 증가율 3%선에 머물러 국내 자동차 시장이 완만한 성장세인 성숙단계로 들어선것으로 보임
('08년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급격히 감소, '09년 노후차세금감면 혜택, '10년은 경기회복에 따라 증가)

 -  ‘05-'07년 증가원인
   · 내수 회복,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 증가
   · 기존 보유차량의 노후화로 인한 대체 수요발생 및 신차 발표 효과가 반영
 -  ‘08년 감소원인
   · 글로벌 경기침체와 자산가치 하락, 가계부채 증가 및 고용 불안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자동차할부금융 경색등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
 -  ‘09년 증가원인
   ·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한 노후차 교체 시, 세금감면 혜택과 자동차 제작사의 신차 출시 효과 등으로 자체 경영혁신이 조화되어 증가

 -  ‘10년 증가원인
   · '03년 이후 최고 증가치로 경기의 지속적 회복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, 신차 출시 및 마케팅 효과 등이 조화되어 증가

  ㅇ '10년 기준 자동차 1대당 인구수 2.82명, 1세대당 자동차보급대수 0.90대 

 -  ‘11년 증가원인    

   · 신규등록은 '0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증가세는 다소둔화되었으며, 말소 및 이전등록 또한 대폭증가    

   · 신규등록의 증가원인은 잠재 대체수요 확대, 제작사의 신차 출시 및 신규브랜드 도입등의 효과로 증가하였으나, 4분기 부터는 유럽재정위기 확산등 대내외 여건악화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증가세 둔화  

 -  ‘12년 증가원인    

   · 신규등록은 '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시림 위축으로 3.1%가 감소하였으나, 2012.9월 내수경기 부양책인 개별소비세 인하 및 제작사의 추가 할인 등을 통한 마케팅 효과로 전년대비 433천대가 증가함 

  - ‘13년 증가원인

   · 신규등록은 경기침체 등의 사유로 전년 대비 약 1.2% 감소하였으나, 말소등록이 자동차 내구성 향상 및 차량의 교체를 미루기 때문에 전년 대비 7.8% 감소한 사유가 자동차등록대수의 증가 요인으로 보임

 - ‘14년 증가원인

   · 다양한 신규 차량 출시와 디젤연료에 대한 선호도 증가 등의 사유로 신규등록은 전년 대비 7.5% 증가하였고, 말소등록의 경우 차량의 내구성 향상과 자동차 교체를 미루는 추세 등의 사유로 전년 대비 6.7% 감소함

 - ‘15년 증가원인

   · 새로운 모델 출시와 수입차 제작사의 적극적인 마케팅 효과 및 안정적인 유가 등의 영향으로 자동차 신규 등록대수가 크게 증가

   · 국산차의 경우 전년 대비 10만 6천대가 늘어나 7.3% 증가, 수입차는 6만 5천 대가 늘어난 전년 대비 29.2% 증가함

 - ‘16년 증가원인

   · 자동차 신규등록은 2015년 대비 0.6% 감소하였으나, 친환경차량(전기차, 수소차, 하이브리드)의 대수는 크게 증가(전기차의 경우 2011년 말에 344대에서 2016년 말에는 10,885대로 약 31배 증가)

   ·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016만 대(92.5%), 수입차는 164만 대(7.5%)로 수입차 비중은 꾸준히 증가

 - ‘17년 증가원인

   · 정부의 친환경차(Green Car)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친환경자동차(전기차, 수소차, 하이브리드)의 대수는 급속히 증가(전기차는 ‘16년 말에 등록대수가 10,855대 이었으나, ‘17년 말에는 25,108대로 약 2.3배 증가, 수소차도 ‘17년 말 170대로 전년대비 약 2배 증가, 친환경자동차의 비중이 전체 1.5%를 넘어서고 있음)

   ·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063만 대(91.6%), 수입차는 190만 대(8.4%)로 수입차 비중은 꾸준히 증가

 - ‘18년 증가원인

   ·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세는 '14년부터 5년 동안 소폭 감소하고 있지만, 1가구 2~3차량의 보편화,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당분간 완만하지만 지속적 증가세 유지할 것으로 보임

   · 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103만 대(90.6%)이며, 수입차는 217만 대(9.4%)로서, 수입차 비중은 꾸준히 증가

   · 또한 친환경자동차로 분류되는 하이브리드, 전기, 수소자동차는 총 461,733대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.5%에서 2.0%로 늘어나 친환경차의 점유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.

 - ‘19년 증가원인

   · 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126만 대(89.8%)이며, 수입차는 241만 대(10.2%)로서, 수입차 비중은 꾸준히 증가

   · 또한 친환경자동차로 분류되는 하이브리드, 전기, 수소자동차는 총 601,048대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  '18년 1.5%에서 '19년 2.5%로 늘어나 친환경차의 점유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.

   ·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세는 '15년부터 5년 동안 소폭 감소하고 있지만, 1가구 2~3차량의 보편화, 1인 가구 증가 등으로당분간 완만하지만 지속적 증가세 유지할 것으로 보임

 - ‘20년 증가원인

   · 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168만 대(89.0%)이며, 수입차는 268만 대(11.0%)로서, 수입차 비중은 꾸준히 증가

   · 또한 친환경자동차로 분류되는 하이브리드, 전기, 수소자동차는 총 820,329대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'19년 2.5%에서 '20년 3.4%로 친환경차의 점유율 증가, 특히 수소차 등록대수가 1만대를 돌파

 - ‘21년 등록현황

   · 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196만 대(88.2%)이며, 수입차는 295만 대(11.8%)

 ㅇ '21년 기준 자동차 1대당 인구수 2.07명, 1,000명당 자동차 보유대수 : 482.4대

 - ‘22년 등록현황

   · 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231만 대(87.5%)이며, 수입차는 319만 대(12.5%)

 ㅇ '22년 기준 자동차 1대당 인구수 2.02명, 1,000명당 자동차 보유대수 : 495.8대

 - ‘23년 등록현황

   · 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256만 대(87.0%)이며, 수입차는 339만 대(13.0%)

 ㅇ '23년 기준 자동차 1대당 인구수 1.98명, 1,000명당 자동차 보유대수 : 505.6대

 - ‘24년 등록현황

   · 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,276만 대(86.5%)이며, 수입차는 354만 대(13.5%)

 ㅇ '24년 기준 자동차 1대당 인구수 1.95명, 1,000명당 자동차 보유대수 : 513.5대

       (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수 및 세대수 기준과 비교)


■  미래 예측 및 향후 정책 방향

 ㅇ 이에 대비하여 종합적인 자동차관리 안전대책, 교통시설 확충 및 교통수요관리대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, 앞으로도 친환경차 보급 및 확대를 위한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임.

등록된 관련 용어가 없습니다.

승인통계는 로 표시됩니다.